내 계좌 한눈에를 통해 잊고 있던 계좌에서 숨은 돈을 찾아보세요.
경제 활동에 은행거래는 필수로 많은 분이 여러 은행의 계좌를 가지고 있습니다. 보통 흔하게 사용하는 게 월급 통장이고, 그 외에도 적금, 청약 예금 등 각자 목적에 따라 여러 종류의 통장을 만들게 됩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가 보면 쓰지 않는 은행 계좌가 생기게 됩니다. 이렇게 쓰지 않는 계좌의 남은 잔액은 소액일 경우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본인도 모르게 잠자고 있는 돈, 소액일지라도 모이면 무시할 수 없는 금액이 됩니다.
오늘은 내 계좌 한눈에 서비스로 숨어 있는 내 돈을 쉽게 찾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계좌 정보 통합 서비스
거래하는 금융기관의 계좌를 한눈에 조회하고 1년 이상 거래가 없는 소액 비활동성 계좌의 잔고를 이전 및 해지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내 명의로 된 모든 계좌, 카드, 포인트 조회가 가능하고 1년 이상 거래가 없는 계좌의 해지 및 카드 포인트를 현금화까지 가능합니다.
내 계좌 한눈에 서비스 이용 방법
이용 방법
1.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
www.payinfo.or.kr:443
사이트 접속 후 상단 메뉴 중 '내계좌한눈에'를 선택 후 계좌통합조회를 위해 신용 정보 동의란이 나오면 전체 동의 후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2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고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합니다.
3. 공동인증서 로그인 후 본인 확인 추가 인증해야 합니다. 은행에 등록된 휴대폰 번호로 본인인증을 해줍니다.
4 인증이 완료되면 거래 중인 은행 목록이 나옵니다. 활동성 계좌 개수와 비활동성 계좌 개수를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조회를 클릭하면 은행별 상세한 휴면계좌 조회내역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활동계좌는 계좌 해지 잔고 이전 신청이 불가능하며 비활동성 계좌는 계좌 해지 잔고 이전 신청이 가능합니다.
계좌해지 잔고 이전에 <신청> 버튼을 눌러 줍니다.
6. 계좌 해지 잔고 이전 신청 시 본인 계좌와 기부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
기부를 선택할 경우 휴면계좌의 잔고를 서민금융진흥원에 기부하게 되며, 본인 계좌로 이체하는 경우에는 계좌번호를 입력하고 다음 단계로 이동을 클릭해줍니다.
7. 해지 계좌정보를 확인 후 하단의 취소 불가와 잔고 이전 신청에 대한 문구를 작성 하신 후 '잔고 이전 해지신청'을 클릭합니다. 이후 공인인증서로 한번 더 로그인하면 휴면계좌 해지 잔고 이전 신청이 완료됩니다.
기타 서비스
내 계좌 한눈에 사이트에서는 숨어 있는 내 돈을 찾는 서비스 외에도 다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한 번의 본인인증 및 로그인으로 모든 금융권 계좌를 원스톱으로 조회
- 소액 및 비활동성 계좌는 해지하거나 잔고 이전
- 은행은 물론 저축은행, 상호금융, 보험, 카드, 증권의 예금, 보험계약, 대출, 카드 및 포인트 확인
오늘은 숨어있는 내 돈을 찾을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계좌에 있는 잔액들을 확인하시고 꼭 찾으시길 바랍니다.
'일상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꿀팁] 돈 절약하는 자동차 주유 방법 (1) | 2022.06.07 |
---|---|
실업급여 모의 계산 (0) | 2022.05.30 |
신용점수 올리는 방법 (0) | 2022.05.17 |
[꿀팁] 받기 싫은 마케팅 전화 차단하는 방법 (1) | 2022.05.16 |
[20만원 지원] 청년 월세 지원 사업 신청 방법 (1) | 2022.05.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