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귀속 2022년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종합소득세는 당해 근로 소득 이외에 사업 소득이나 이자 소득 등이 있다면 꼭 신고해야 하는데요. 오늘은 2022년 종합소득세 신고기간과 대상, 신고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1. 종합소득세?
종합소득세란 개인이 작년 1년동안의 경제활동으로 인해 근로소득 이외의 타 소득이 있는 자가 종합소득세 신고기간 동안 총소득을 신고하여 소득세를 납부하거나 환급받는 제도를 말합니다.
종합소득세에는 근로 소득뿐만아니라 이자 소득, 사업 소득, 부동산 임대 소득, 배당 소득, 연금 소득, 기타 소득 등 많은 종류의 소득을 합산한 소득을 기준으로 합니다.
2. 연말정산과 종합소득세의 차이?
연말정산과 종합소득세의 차이점에 대해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연말정산은 회사에 다니는 직장인이 종합소득을 신고하는 기간(12월)에 신고를 하는 것이며, 5월에 신고하는 종합소득세는 개인사업자, 프리랜서, 작년에 퇴사한 분들이 신고를 해야 합니다.
3. 종합소득세 세율
종합소득세 계산법을 알고 계산하려면 세율, 과세표준 등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 세율: 과세표준에 대하여 납부하여야 할 세액의 비율
- 과세표준: 세액을 산정하기 위한 기초가 되는 금액
2021년 종합소득세 세율은 21년도에 세법개정 되었는데요. 10억 원을 초과하는 경우 최대 45% 세율이 추가되었으나 올해까지는 42% 세율이 적용됩니다.
과세표준 | 세율 | 누진공제 |
1,200만원 이하 | 6% | - |
1,200만원 초과 4,600만원 이하 | 15% | 108만원 |
4,600만원 초과 8,800만원 이하 | 24% | 522만원 |
8,800만원 초과 1억 5,000만원 이하 | 35% | 1,490만원 |
1억 5,000만원 초과 3억원 이하 | 38% | 1,940만원 |
3억원 초과 5억원 이하 | 40% | 2,540만원 |
5억원 초과 | 42% | 3,540만원 |
4. 종합소득세 신고대상
근로 소득, 이자 소득, 배당 소득, 사업 소득(임대 소득), 연금 소득 등 소득이 종합적으로 있는 자는 모두 신고대상에 포함됩니다.
금융 소득 연간 2,000만 원 이상/ 사적 연금 소득 1,200만 원 초과/ 기타 소득 금액이 300만 원을 초과한다면 종합소득세 신고대상에 포함됩니다.
소속이 없는 프리랜서의 경우, 연말정산이 불가능하므로 종합소득세를 신고하셔야 합니다.
5. 종합소득세 신고 제외대상
아래의 경우에 해당하면 종합소득세를 따로 신고하지 않아도 됩니다.
- 근로 소득만 있는 자로 연말정산을 이미 했을 경우
- 직전 과세기간 수입 금액이 7,500만원 미만이며 다른 소득이 없는 방문판매원, 보험모집인 및 계약 배달 판매원의 사업 소득으로 소속회사에서 연말 정산을 한 경우
- 퇴직 소득과 연말정산 대상 사업 소득만 있는 경우
- 비과세, 분리과세 되는 소득만 있는 경우
- 연 300만원 이하인 기타 소득이 있는 자로 분리과세를 원하는 경우
6.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
종합소득세 신고 및 납부하는 기간은 매년 5월 1일 ~ 5월 31일까지 동일한 기간에 진행됩니다.
환급받을 세액은 6월 말 ~ 7월 초 사이에 계좌에 입금되고 신고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른 신고와 마찬가지로 가산세 및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7.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
종합소득세는 홈택스나 모바일 홈택스인 손택스, 세무 대리인을 통한 신고, 서면 신고를 통한 4가지 방법이 있어요.
- 홈택스 전자 신고: 홈택스 -> 로그인 -> 신고/납부 -> 세금신고 -> 종합소득세 -> 신고서 선택, 정기신고 작성 -> 신고서 작성 및 제출 -> 지방소득세 신고하기
- 모바일 홈택스 전자 신고: "홈택스 앱" -> 로그인 -> 신고/납부 -> 세금신고 -> 종합소득세 -> 신고서 선택, 정기신고 작성 -> 신고서 작성 및 제출 -> 지방소득세 신고하기
- 세무대리인을 통한 신고: 장부작성 등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 세무대리인의 도움을 받아 신고
- 서면신고: 국세청 누리집에서 신고서 서식을 내려받거나 세무서에 비치된 신고 서식으로 작성한 후 관할 세무서에 우편접수 및 민원실에서 접수
오늘은 종합소득세 신고기간과 대상, 신고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종합소득세 계산법을 통해 예상 세액을 확인해 보시고, 신고 전 준비해야 할 항목들에 대해 꼼꼼히 챙겨 누락되는 경우가 없길 바랍니다.
'일상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권 재발급] 온라인 재발급 신청 (1) | 2022.04.28 |
---|---|
[2022 근로장려금] 대상 및 신청 방법 (1) | 2022.04.19 |
[무료 보안점검] 내 PC 돌보미 서비스 이용방법 (1) | 2022.04.17 |
[자동차 관리 꿀팁] 자동차 장기 주차 시 배터리 방전 방지하는 법 (2) | 2022.04.15 |
자동차 검사 지연 과태료 상향 (5) | 2022.04.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