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정보

[자동차 관리 꿀팁] 자동차 장기 주차 시 배터리 방전 방지하는 법

by eundol 2022. 4. 15.
728x90
반응형

최근에 코로나19 확진으로 자가격리를 하는 분들이 많을 텐데요. 자가격리 기간에는 바깥출입이 안 되기 때문에 출퇴근 시 이용하던 자동차도 어쩔 수 없이 운행을 안 하게 됩니다. 이런 경우에 연식이 오래된 자동차는 자칫 배터리 방전이 될 수도 있습니다.

 

저도 이번에 배터리가 방전되어 교체를 했는데요 오늘은 자동차 장기 주차 시에 배터리 방전 방지하는 법을 적어보려고 합니다.

 


배터리 방전이란?

배터리를 사용한 지 2년이 넘은 자동차들은 블랙박스 등의 전력을 사용하는 장치만으로 1~2주 장기 주차 시 배터리가 쉽게 방전될 수 있어요.

 

배터리가 방전되면 많은 분들이 자동차 보험사의 출동 서비스를 이용하는데요.

급하게 차를 써야할 상황이라면 여간 난감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자동차 배터리는 조금만 신경 쓰면 장기주차를 하더라도 방전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요.

장기간 자동차를 사용하지 않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배터리 관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1. 블랙박스 전원 빼기

자동차를 사용하지 않아도 블랙박스는 대기 전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배터리 방전의 원인이 됩니다.

특히 블랙박스의 상시 녹화 기능을 켜 둔 상태라면 배터리 소모는 더욱 빨라질 수밖에 없는데요. 만약 CCTV가 근처에 있는 안전한 곳에 장기간 주차한 경우라면 블랙박스의 전원 코드를 뽑아두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또한 블랙박스의 배터리를 분리해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되겠네요. 

 

2. 앱으로 시동걸기

최근 출시되는 자동차는 앱을 통해 원격으로 시동을 거는 것도 가능한데요. 제 차는 해당 기능이 없어요ㅜㅜ

원격으로 시동을 걸면 앱에 따라서 10분에서 20분 정도 후에 자동으로 시동이 꺼지므로 두세 번 정도 연속으로 시동을 걸어주시면 좋아요.

 

3. 배터리 단자 분리

장기 주차를 할 경우에 배터리의 (-) 단자를 분리해 놓은 것이 가장 좋다고 해요.

 

마이너스 단자의 너트를 두 바퀴정도 풀어준 후 (-)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을 위로 당기면 빠지게 되는데요. 이렇게 마이너스 단자를 빼놓으면 절대 방전될 염려가 없어요.

 

자동차를 사용할 때 풀어놓았던 단자를 다시 끼워주면 되는데 이때 주의할 점은 완벽하게 끼워서 조립을 해야 합니다.

조립이 끝났다면 선을 비틀어보면서 잘 체결되는지 확인해봐야 해요.

 

4. 메인 전원 퓨즈 OFF

메인 전원 퓨즈를 OFF해 놓아도 배터리 방전을 방지할 수 있어요. 운전석 왼쪽의 퓨즈 박스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퓨즈박스 커버가 열립니다.

 

실제 퓨즈 박스를 보면 노란색으로 유독 큰 퓨즈가 있는데 잡고 앞으로 살짝 뽑아 줍니다. 이렇게 하면 자동차의 전원이 모두 나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전원이 모두 차단되었기 때문에 스마트키로 문이 잠기지 않는데 이때 안에서 수동으로 문을 모두 잠그고 내려서 문을 닫아주면 됩니다.

 

자동차를 다시 주행할 때에는 퓨즈를 눌러서 사용하면 됩니다.

 


오늘은 자동차 배터리 방전 방지하는 법에 대해 적어보았는데요.

평소 관리를 통해 자동차 배터리 방전을 예방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다음 글로 찾아올게요.

반응형

댓글